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비고 만두, 미국 냉동식품 시장을 점령하다

by yunanara 2025. 5. 8.

글로벌 입맛을 사로잡은 K-만두의 성공 전략이 무엇이였는지 알아봅니다.

비비고 만두, 미국 냉동식품 시장을 점령하다
비비고 만두, 미국 냉동식품 시장을 점령하다

 

한국식 만두가 미국 냉동식품 코너에 들어오기까지


언젠가부터 미국 코스트코 냉동식품 코너에서 한국 만두를 보는 것이 당연해졌습니다.
왕만두, 김치만두, 갈비만두 등 낯익은 이름의 제품들이 미국 슈퍼마켓에서 팔리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음식이 더 이상 ‘이국적’인 선택이 아니라 ‘일상적인 한 끼’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만두는 미국에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며 코스트코, 월마트, 홀푸드 등 주요 대형마트의 냉동식품 코너를 점령했습니다.
2016년 이후 미국 냉동만두 시장에서 CJ 비비고 만두는 매출 1위를 달성했고, 전체 점유율의 약 30%를 차지하며 미국식 만두 브랜드를 제쳤다는 뉴스도 있죠.

어떻게 한국 만두가 미국 식탁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을까요?
비결은 바로 다음 세 가지입니다:

Healthy + Convenient: 전자레인지나 프라이팬으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면서도, 고기·야채의 비율이 적절하고 MSG가 적어 건강식 이미지 구축

다양한 맛과 스타일: 김치, 고기, 갈비, 야채 등 다양한 맛의 만두를 제공하며, 미국인에게도 익숙한 아시아식 딤섬과 비슷한 형태

한식의 세계화 전략: 비비고는 ‘K-푸드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정체성을 강조하며 한국 문화와 함께 소비되는 경험을 제공

한국 만두는 이제 ‘딤섬’이라는 중국 요리의 하위 장르가 아니라, ‘K-만두’라는 독립된 정체성으로 브랜드화되며 전 세계에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미국인들은 K-만두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그렇다면 미국 소비자들은 이 한국식 만두를 실제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
아마존, 코스트코 공식 웹사이트, 유튜브 리뷰를 종합해보면 한국 만두에 대한 평가는 굉장히 긍정적입니다.

. 긍정적인 반응
“Filled with real meat and veggies. Not mushy like other frozen dumplings.”

“Easy to cook and perfect for busy nights. Restaurant-quality at home!”

“비비고 만두는 아이들도 좋아하고, 남편도 좋아해서 항상 냉동실에 있어요.”

한국 만두의 가장 큰 장점은 재료의 풍부함과 식감의 만족감입니다.
보통 미국에서 판매되는 냉동만두는 속이 적거나 반죽이 두껍고 질긴 경우가 많은데, 한국 만두는 얇은 피와 꽉 찬 속이 인상적이라는 평이 많습니다.

특히 비비고 갈비만두는 달콤짭짤한 맛 덕분에 ‘아시아 바베큐’ 느낌으로 호평받고 있으며, 김치만두는 매운맛을 좋아하는 층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 아쉬운 점도 있다
물론 모든 평가가 긍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일부 미국 소비자들은 김치의 강한 향이나 매운맛을 낯설게 느끼는 경우도 있고, “소금기가 조금 많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한 “가격이 일반 만두보다 다소 비싸다”는 평도 종종 보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대부분 한국적 맛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오는 의견으로,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런 평가들이 모여 한국식 만두가 ‘새롭고, 독특하고, 다시 사고 싶은 맛’이라는 이미지를 쌓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만두 한 입에 담긴 한국 식문화의 확장


한국 만두는 단순한 냉동식품이 아닙니다.
그 속에는 공들여 만든 속재료, 명절의 기억, 어머니의 손맛, 그리고 한국의 따뜻한 음식 문화가 녹아 있습니다.

CJ 비비고는 이런 정서를 잘 이해하고, 단순히 제품을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K-푸드를 통한 문화 전파”를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실제로 비비고는 미국 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한국 문화를 함께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글과 한국적 디자인이 담긴 포장지

‘비비고’라는 브랜드 이름 자체가 한식을 비비다, 섞다라는 개념에서 출발

한국 만두를 먹는 방법을 애니메이션이나 영상으로 안내

또한 K-드라마, K-팝, 유튜버들과 협업하여 비비고 만두를 노출시키는 등의 마케팅은 “만두를 먹는 경험이 곧 한류 콘텐츠 소비”로 연결되는 흐름을 만들어냅니다.

이제는 단순히 ‘맛있다’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을 느낄 수 있다’, ‘문화가 느껴진다’는 평이 이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맺으며: K-만두, 미국 식탁을 점령하다
만두는 세계 여러 나라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음식입니다. 하지만 한국식 만두는 그 고유한 조리법과 맛, 담백한 풍미로 미국인의 입맛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바쁜 현대인들에게 ‘전자레인지로 2분이면 완성되는 한식’은 매력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코스트코에 진열된 만두 하나에도, 한국 음식의 세계화 전략, 브랜드의 노력, 문화적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그 만두를 맛본 미국 소비자는 그저 한 끼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이라는 나라를 한입에 체험하고 있는 것이죠.

오늘 당신의 냉동실에 있는 만두는, 어쩌면 세계로 뻗어가는 한국 음식의 한 조각일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