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른 한국 김의 인기 비결

by yunanara 2025. 5. 8.

해외 소비자를 사로잡은 작고 얇은 바다의 선물 김이 아마존에서의 그 인기 비결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려합니다.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른 한국 김의 인기 비결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른 한국 김의 인기 비결

 

‘김’이 미국 아마존에서 날개 돋친 듯 팔리는 이유


한때는 도시락 반찬으로, 또 한때는 밥도둑으로 불리던 ‘김’이 이젠 미국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김은 한국이나 일본을 제외하면 생소한 식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 김은 건강식품이자 트렌디한 스낵으로 인식되며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 ‘Seaweed Snack’ 카테고리에서는 한국산 김 제품들이 상위 랭킹을 거의 독점하고 있습니다. 김자반, 구운김, 양념김, 스시용 김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Healthy’, ‘Low-calorie’, ‘Vegan’, ‘Keto-friendly’ 같은 키워드와 함께 소비자들의 장바구니에 담기고 있죠.

김이 이렇게까지 사랑받게 된 데는 몇 가지 뚜렷한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간편한 포장과 휴대성입니다. 얇고 가볍고 쉽게 뜯을 수 있는 김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스낵으로 각광받습니다.
둘째, 건강한 이미지입니다. 김은 식이섬유와 미네랄이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건강을 중시하는 서구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셋째, K-푸드 붐입니다. BTS,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으로 세계적인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한국 음식 전반에 대한 호기심과 신뢰가 크게 증가한 것도 빼놓을 수 없죠.

 

외국인은 김을 어떻게 먹을까? — 다양한 해외 활용법

 

김을 먹는 방식도 나라별로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밥과 함께 싸 먹거나, 국에 넣거나, 아이들 간식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스낵이나 요리 재료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김을 감자칩 대용으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Seaweed Chips’라는 이름으로 과자처럼 판매되며, 직장인의 책상 서랍이나 아이들 도시락에 빠지지 않는 건강 간식으로 자리 잡았죠. 어떤 사람들은 크림치즈를 발라서 김을 접어 먹기도 하고, 아보카도와 함께 곁들이는 방식도 유행입니다.

또한 스시나 퓨전 요리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김을 얇게 부숴 샐러드 위에 뿌리거나, 타코 셸 대신 김을 이용해 멕시코 스타일의 ‘K-타코’를 만드는 레시피도 널리 퍼져 있습니다.
심지어는 김 맛 아이스크림, 김 맛 초콜릿 같은 이색 제품도 등장할 정도죠.

이런 새로운 활용 방식은 ‘김은 밥반찬’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세계인의 입맛에 맞춘 현지화 전략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 단순한 식품을 넘어 문화 콘텐츠로

 

한국 김은 이제 단순한 식품을 넘어 문화 콘텐츠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김 포장지에는 한글 문구와 전통 문양이 들어가기도 하고, 어떤 브랜드는 한국의 미식 문화를 전파하는 브랜드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내세우기도 합니다. 김 한 장에 ‘Korean Taste’라는 상징이 담긴 셈이죠.

특히 유튜브, 틱톡 등 SNS를 통해 외국인들이 김을 처음 먹는 영상은 폭발적인 반응을 얻습니다.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에 놀라는 장면, ‘이게 바다에서 나온 거라고?’라며 감탄하는 장면은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김에 대한 호기심을 증폭시키죠.

이런 바이럴 효과 덕분에 김은 ‘건강식품’이자 ‘한국적 스토리텔링이 담긴 브랜드’로 포지셔닝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에서 잘 팔리는 김 브랜드들은 단순한 제품 설명을 넘어서, 제조 과정, 해조류의 영양학적 가치, 한국인의 식문화를 담은 콘텐츠를 함께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히 “좋은 재료를 썼다”가 아니라, 왜 이 제품이 특별한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는 방식이죠. 그 덕분에 김은 수출 품목으로서도 가치가 올라가고 있으며, 많은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이 김을 중심으로 글로벌 마켓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맺으며: 얇지만 강한 K-푸드의 상징
한국 김은 얇고 작지만, 그 안에는 수천 년의 식문화와 바다의 풍요, 그리고 세계인과 연결된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른 것은 단지 판매량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음식이 전 세계 식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김이 가진 강점은 단순한 맛을 넘어 문화, 건강, 휴대성, 다양성이라는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한국 식품들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세계 시장에서 자리 잡기를 바라며, 오늘 저녁엔 김에 밥 한 숟가락 얹어 조용히 한류의 힘을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